본문 바로가기
돈되는 이야기

25년 연봉 실수령액표 1분 정리

by 척척 박사님 2025. 2. 17.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연봉에 비해 실제 통장에 입금되는 월급이 작다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세금, 4대 보험, 기타 공제 항목들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최저임금부터 1억 원까지의 연봉별 실수령액표를 통해 실제 받는 월급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
2025년 연봉 실수령액

25년 연봉 실수령액표

반응형

아래에 제시된 표는 25년 연봉에 따른 실수령액표를 정리한 것입니다. 최저시급기준으로 25백만 원부터 꿈의 연봉인 1억 원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세전 연봉 연봉 실수령액 월급 실수령액
2,515만 5,240원 2,279만 1,600원 189만 9,300원
2,750만 원 2,484만 3,920원 207만 3,027원
3,000만 원 2,701만 9,800원 225만 1,650원
3,500만 원 3,128만 6,242원 260만 7,187원
4,000만 원 3,534만 7,240원 294만 5,603원
4,500만 원 3,925만 2,000원 327만 8,050원
5,000만 원 4,300만 7,720원 358만 3,977원
5,500만 원 4,679만 7,400원 389만 9,783원
6,000만 원 5,052만 5,400원 421만 4,50원
6,500만 원 5,431만 4,720원 452만 6,227원
7,000만 원 5,806만 6,960원 483만 8,913원
7,500만 원 6,137만 5,080원 511만 4,590원
8,000만 원 6,480만 7,760원 540만 6,470원
8,500만 원 6,830만 5,240원 569만 2,103원
9,000만 원 7,180만 2,600원 598만 3,550원
9,500만 원 7,535만 9,960원 627만 9,997원
1억 원 7,885만 7,320원 657만 1,443원

이 표는 4대 보험, 소득세, 그리고 비과세액(월 20만 원 기준)을 고려하여 실제 수령 가능한 금액을 보여줍니다. 

아마 보시고 나서 생각보다 금액이 크지 않아서 놀랐을 것입니다. 저도 그랬습니다. 그럼 여기서 궁금해집니다.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렇게 실수령액이 차이가 많이 나는지 궁금합니다.

이유는 아래에 있습니다.

 

실수령액에 포함된 세금과 보험

 

연봉 5천만 원의 실수령액이 358만 3,977원 입니다. 생각보다 적다고 느껴집니다. 이유는 세전 월급과 실수령액 간에 약 58만 2,689원의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차이는 주로 소득세와 4대 보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납세의 의무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누구나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을 냅니다.

소득세

개인의 연봉에 따라 세율이 6%에서 45% 사이로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매월 납부할 세액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부가 정한 '근로소득 간이세액' 기준에 따라 미리 일정 금액을 떼어갑니다.

연말정산을 통해 최종 세액이 조정되며, 초과 납부한 세액은 환급받고 부족한 세액은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 회사마다 소득세를 공제하는 금액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본인의 소득보다 많은 금액을 세금으로 미리 납부하면 연말정산 때에 많이 돌려받고, 반대로 세금을 적절하거나 적게 납부하면 연말정산에 토해내는 금액이 커집니다.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보험의 요율이 급여의 일정 비율로 책정되며, 2025년 기준으로는 국민연금이 4.5%, 건강보험이 7.09%, 장기요양보험이 0.9182%, 고용보험이 0.9%입니다.

이 부분은 고정적인 것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회사에서 어떻게 조정할 수 없습니다.

 

마치며

2025년 연봉 실수령액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은 예산 계획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월급이 손에 남는 금액을 알면, 보다 효과적인 소비 계획과 저축 목표를 세우는 데 유리합니다. 실수령액이 예상보다 적더라도,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재정 관리와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을 통해 정확히 한 달에 들어오는 월급을 알면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기예금 금리비교. 이렇게 하면 남들보다 1만원이라도 더 받는다.

정기예금은 돈을 모으고자 하는 사람들이 제일 먼저 시도하는 방법입니다. 여러 금융 상품 중에서도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는 높지 않고 은행마다 다르기

2.crownu100.com

 

 

 

파킹통장 금리비교, 기준금리 추가 인하로 저금리 예상 30초 정리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추가 인하했습니다. 은행의 대출 금리와 예·적금 금리도 같이 인하될 것으로 보입니다.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으로 대출 금리의 하락폭은 크지 않을 것입니다

2.crownu100.com

 

 

 

 

2025년 최저임금 1만원 돌파. 인상된 시급과 주휴수당 1분 정리

2025년의 새로운 최저임금과 주휴수당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그저 주는 대로 받으면 손해 본다는 것도 모르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2025년도 10,030원의 1.6% 인상된 최저시급을 근로자와 고용주 모

2.crownu100.com

 

반응형

댓글